미나리서리단 프로젝트 전시 <옥상 보수공사>_20230520-20230603
미나리서리단 프로젝트 전시 <옥상 보수공사>_
참여작가 : 미나리서리단(고은아_전시기획 및 디자인, 김시연_참여작가, 박혜민_참여작가) / 전시 디자인 : 피그헤드랩
2023년 5월 20일부터 6월 3일까지 / 운영시간 : 12:00-20:00 / 유인 혹은 무인 운영
오프닝 리셉션 : 5월 20일 오후 5시
옥상 보수공사
주어진 과제를 해내고 다음 과제를 이어가며 계단처럼 정해져 있던 과정을 마치고 나와 직면하게 된 사회는 마치 꿈에서 깬 거처럼 새롭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현실에서 남들과 비교하자면 스스로가 한없이 부족하기만 하다. 모르면 혼나고 알면 무시당하는 사회 초년생들이 살아남기 위해 타인에 벗어나 보고, 스스로를 고쳐보고, 다시 도전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생기는 고민들과 감정에 집중했다. 3명의 작가들은 이 불완전함을 각자만의 방식으로 연구해 완성된 불완전함을 선보인다.
고은아(전시 기획 및 디자인)
작가를 위한 메모
미나리서리단은 고은아, 김시연, 박혜민 세 명으로 이뤄진 프로젝트 팀이다. 이들은 22년 말 졸업전시를 하였고 이 후 피그헤드랩의 비공식 워크샵에 참여하였다. 워크샵의 주요 내용은 직업으로써의 시각예술에 대한 안내와 현대미술에 대한 사례 탐구, 그리고 글쓰기와 이를 행정서류화 하는 노하우 등에 대한 설명이었다.
진행은 전체적으로 피그헤드랩의 기획자인 내가 진행하였는데, 이들이 학생의 입장에서 예술계를 바라보는 시야가 나 때에 비해 더 넓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또 자신의 이야기를 단편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꽤 잘한다는 것을 느꼈다. SNS 및 정보 채널의 확장이 가진 영향 아닐까 넘겨 짚으며, 속칭 ‘나 때는’이란 표현처럼 갈수록 더 잘 알고 뭔가 부럽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들을 만나게 된 것은 내가 그들의 졸업전시를 보게 되면서였다. 당시의 상황을 돌이켜보며 개인별 소개를 하자면 먼저 고은아 작가(겸 메인 기획자)의 경우, 작업 자체도 나쁘지 않았지만 조직을 일구고 일을 진행시키며 리더쉽을 갖추었고 이 과정에서 시각예술을 직업적으로 보고자 하는 나름의 목표도 보였다. 김시연 작가의 경우 즉흥적으로 스케일을 키우고 단숨에 그림을 그려내는 호기로움에, 박혜민 작가의 경우 가지고 있는 매체를 바탕으로 이상적인 도안을 표현해내는 것이 눈에 띄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각 개인이 어떤 뛰어난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할 수 있기보다, 어떠한 환경 내에서 최선을 다해 자신의 퍼포먼스를 보이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그리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서 그들이 가진 매력들을 알게 되기도 하였지만, 한편으로 그럼에도 그들을 둘러싼 환경과 제한, 그것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갑갑함을 느끼기도 하였다. 일종의 공감대일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지점에선 학교의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는 없는데, 전시를 포함한 관련 콘텐츠 영역에서의 실무에 대한 현실적인 교육이 부재할 수 밖에 없는 것은 여전하다. 그러나 꼭 특정 학교나 교육법의 문제이기 보다 전통 계승에 목적을 두는 아카데미라는 것이 가진 태생적 한계일 것이다. 어떤 분야라고 칭하던 자기 브랜드를 갖고 창작활동을 하는 것의 범위가 무척이나 넓어졌고 또 문턱도 매우 낮아져 간다. 많은 이들이 어떤 방식이던 창작의 영역으로 입문하고 그들의 활약이 사람들 눈에 띄기만 한다면 누구나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시대이다. 그러한 만큼 너무나도 많은 이들이 창작의 영역에 뛰어들고 또 무수한 경쟁에 부딪친다. 속칭 산업영역이라는 것이 그런 것이다. 표현하기에 있어 꼭 경쟁이란 단어가 아니더라도 비교와 영향력을 통해 자신의 입지를 다지려는 것은 콘텐츠 산업의 불가피한 구조이다. 그런 지점에서 다시한번 전통과 과거의 경험을 답습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커리큘럼, 그리고 그것이 가르치는 예술이란 것은 지금 같은 시대일수록 동시대성을 따라잡기 어려울 것이며 그것을 마냥 나무랄 수는 없을 것이다. 또 거리를 두고 본다면 결국 아카데미에서 가르칠 수 있는 교양의 영역과 취업준비의 영역이 온전히 분리되지 못하는, 세상의 딜레마가 강하게 적용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옥상 보수공사>는 참여 작가들이 자전적으로 제안한 딜레마와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마음의 표현에서 시작한다. 옥상, 즉 그들에게 지붕이 될 것이라 믿었던 것들이 사실 온전한 것이 아니었고 그것을 스스로 보수하고자 하면서 자신들의 생존 방식을 개척해 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미나리서리단이라는 이름도, 사실 워크샵 중 술자리에서 우연히 발굴된 이름이기는 하지만 그들이 충분한 자생력과 생명력, 진취적인 성장을 가졌으면 하는 마음 또한 절묘하게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오종원(피그헤드랩 기획자)